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하마스 이스라엘 전쟁 이유

 

 

하마스 이스라엘 전쟁 이유

 
 
 
 
 
 
 
 
 

하마스? 팔레스타인이요?

 

하마스와 팔레스타인 자치정부는 같은 팔레스타인 국가의 일부이지만 정치적으로는 대립하는 입장입니다.  강경파 하마스는 이슬람 근본주의를 표방하며 이스라엘과의 무력투쟁을 주장하는 반면 온건파 자치정부는 이스라엘과의 협상을 통한 평화적 해결을 목표로 합니다.

 

또한 하마스는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 정식 회원이 아니며 PLO가 이스라엘과 맺은 오슬로 협정을 거부합니다.  따라서 하마스와 자치정부는 다른 정권을 수립하고 다른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하마스와 자치정부의 관계는 2007년 가자지구에서 내전이 일어난 이후 더욱 악화되고 있습니다. 하마스는 자치정부에 충성하는 세력을 가자지구에서 몰아내고 가자지구를 통제하게 되었습니다. 한편 자치정부는 요르단강 서안지구를 통치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팔레스타인은 가자 지구와 요르단 강 서안 지구로 양분되었습니다.



하마스와 자치정부는 여러 번 화해를 시도했지만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두 세력은 권력 분배, 안보 협력, 선거 개최 등에 대해 합의하지 못했습니다. 또한 이스라엘과 미국 등은 하마스를 테러단체로 규정하고 있으며 하마스가 자치정부에 참여하는 것을 반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하마스와 자치정부의 관계는 파키스탄·방글라데시나 한국의 여당·야당처럼 분열된 느낌이나 같은 국가라는 인식이 있는 느낌보다는 서로 다른 국가라고 인식하는 느낌에 가깝습니다.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관계입니다
 

아까 전쟁 발생의 이유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사실 양국이 싸우는 큰 이유는 종교 때문입니다. 일단 위치를 보시면 이스라엘이 있고 예루살렘이 있습니다. 팔레스타인은 원래 지리에 잘 나타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서아시아의 요르단강 서안지구와 가자지구에 위치하고 있는데, 이 지역에 대한 주권을 주장하는 국가입니다.

 

주권을 주장하다니요? 가자지구와 서안지구는 팔레스타인 아닌가요? 복잡한 역사가 얽혀 있습니다.



 
이스라엘은 동서아시아에 유대인들이 세운 국가입니다. 1948년에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나라이며 수도는 예루살렘입니다. 인구는 약 900만 명으로 74%가 유대인이고 20%는 아랍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나머지 인구는 기독교 또는 무신론자입니다. 70년대까지 수도는 텔아비브가 수도였지만 80년대에는 예루살렘으로 수도를 이전했지만 예루살렘은 유대교와 기독교 이슬람교의 세 종교 성지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여기서부터 문제가 발생합니다.

 

기독교와 이슬람교도들은 이에 대해 불만을 가질 수밖에 없지만 미국도 상류층을 구성하는 유대인들이 예루살렘을 이스라엘의 수도로 인정하기 때문에 아랍 국가들과 이슬람교도들의 증오를 사기 시작합니다. 이 때문에 중동은 종교로 인해 지금까지도 분쟁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역사 요약

*이스라엘에 정복당한 필리스티아(현 팔레스타인)입니다.

다윗과 골리앗은 이스라엘과 필리스티아의 대립을 꼬집은 것으로 성경에서는 어린 소년 다윗이 거대한 악마 골리앗을 꺾은 것으로 나와 있습니다.



이후 유대인들이 바빌로니아에 의해 멸망하고 유대인 바빌론(메소포타미아 고대도시) 포로 생활을 하게 됩니다.

이러쿵저러쿵 다니다 제대로 나라를 세우지 못한 중입니다..



1917 제1차 세계대전의 영국이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팔레스타인 땅으로 유대인 이주를 허용합니다. (팔레스타인은 이슬람교)

1930 독일 나치 유대인 학살 → 이주민 늘어요

소수파로의 전락과 땅을 잃는 것을 두려워한 팔레스타인인의 폭동이 일어납니다.



1947 유엔이 아랍 지구 48%와 유대 지구 52% 분할 결의안으로 이스라엘 성립이 선언되었습니다.

하지만 유대인들의 시오니즘 운동이 심해집니다. 시오니즘은 팔레스타인에서 아랍 민족 독립 반대, 유대교만으로 나라를 만들려는 건국 운동입니다.

 

1948년 제1차 중동전쟁 발발→아랍연맹 폐배

두 번째 이집트 패배, 세 번째 이스라엘이 압승, 1973년 네 번째 이집트와 시리아의 기습 반격으로 시나이 반도를 되찾습니다. (아래에 지도에 연두색이 표시되어 있는 부분, 지중해와 홍해 사이)

 

하마스의 뜻입니다 

아랍어 「Harakatal-Muqaqamaal-Islamiya」(이슬람 저항 운동)의 약칭입니다.

 

1970년대 후반 문화운동으로 시작되었으나 1987년 이후부터는 팔레스타인 해방을 주장하며 무장 게릴라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지도자는 1989년 이스라엘 군 당국에 체포되어 1997년 석방된 이슬람 법학자 아마드 야신입니다

 

 팔레스타인 점령지를 중심으로 반이스라엘 투쟁을 전개하는 이슬람 근본주의 조직 저항 운동 단체 겸 정당입니다. 아랍어 'Harakatal-Muqaqamaal-Islamiya'(이슬람 저항 운동)의 약칭으로요. '해머스'는 '용기'라는 뜻입니다. 1970년대 후반 문화운동으로 시작되었는데 팔레스타인의 대이스라엘 무장봉기인 '제1차 인티파타'가 일어난 1987년에 아흐메디 야신 등이 결성했습니다. 초기에는 요르단강 서안과 가자 지구를 계속 통치하려는 이스라엘을 완전히 몰아내고 팔레스타인 전역에 이슬람 국가를 세우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의 이유


 
 


 

이틀 전인 10월 7일 이스라엘과 붙어 있는 GAZA지구 팔레스타인 밀집지역에서 하마스라는 무장단체가 주말에 기습적으로 다수의 카삼 로켓을 발사했습니다.



또한 육로로 이스라엘에 침입하여 방화를 일삼고 이스라엘 주민을 강제로 체포하는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이는 2014년 7월 GAZA 지구 분쟁 이후 9년 만에 일어난 이스라엘-하마스 간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한 전쟁으로 1973년에 일어난 4차 중동전쟁 이후 역대 규모의 무력충돌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먼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역사에 대해 간단히 설명했지만 하마스와 이스라엘 전쟁의 이유도 앞서 설명했듯이 말이죠. 단순히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영토를 빼앗아 난민으로 삼게 된 것이 계기라고 하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팔레스타인이라는 민족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팔레스타인입니다

.

www.asaninst.org
YTN] 오랜 기간 준비해온 하마스이스라엘, '전쟁' 공식 선포 | 아산 ...
734×408 ⋅